브라이언 그린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주의 구조 - 시간 여행은 가능한가? 아인슈타인이 시간여행에 관한 이야기는 한적이 없지만 상대성이론에서 간접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물체가 광속에 가까워질수록 그 물체의 시간은 느려지고 광속에 도달할때 시간은 정지한다" 이것은 어떠한 사람이 광속과 비슷한 속도로 "몇시간" 여행하다가 집에오면 "수백만년"이 흘러있을 수 있다는 말과 일치한다. 광속과 비슷하게 움직이면서 여행을 하였기때문에 자신의 시간은 느리게 갔지만 다른 사람은 예전에 똑같이 흘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타인의 시간이 자신보다 빨리 흘렀기 때문에 미래로 가는 것과 똑같은 현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과거로 가는 방법은 상대성이론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다. 과거로의 시간여행에 대해서는 웜홀이라는 것의 역활을 필요로 한다. 웜홀은 정말로 존재하는지는 아직 아무도 알 수 없지.. 엘러건트 유니버스 - 만물은 언제나 광속으로 움직이고 있다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서는 "우주에 존재하는 어떤 것도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없다" 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빛과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시간은 정지한다"라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그럼 왜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없는 것일까? 왜 광속으로 움직이면 시간은 정지하는 것일까? 아인슈타인은 3차원의 공간과 시간을 합쳐서 시공간이란 개념을 만들었고 그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 예를들어 일정한 속도를 낼수 있는 자동차가 있다고 가정하고 일직선(동-서)으로 달리면 출발지점에서 목적지점까지 언제나 같은 시간에 도착할 것이다. 하지만 대각선으로 달린다면 일직선으로 달린거와 마찬가지고 동-서로 이동한 거리는 동일하지만 시간은 더 오래걸렸을 것이다. 일반적인 상식으로 봐도 명확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