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거리/과학 이야기

(5)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는 지구에서부터 약 200만 ~ 250만 광년 정도 떨어져있는 가장 가까운 외부은하이며흔히 "안드로메다에 개념을 놓고 왔냐" 라는 농담의 바로 그 대상이다. 이전부터 사람들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별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은하라는 개념 자체를 알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은하인 밀키웨이 은하의 내부에 위치한 성운이라고 생각하여 안드로메다 성운이라고 하였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몇몇 성운들이 밀키웨이 은하의 내부에 위치한 성운이 아니라 외부에 위치한 다른 은하가 아닐까 라는 의문이 제기 되었지만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방법이 없어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었다. 1924년 에드윈 허블은 윌슨산 천문대에서 안드로메다 성운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성공하여 비로써 안드로메다 성운이 성운이 ..
오리온 자리 ~ 베텔기우스(Betelgeuse) 오리온 자리에 베텔기우스(Betelgeuse) 라는 아주 커다란 별이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 α 에 위치하는 별이 베텔기우스 입니다. 실제로 오리온 자리를 보면 베텔기우스는 아주 환하게 빛나고 있어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오리온자리 α의 고유명으로 오리온자리 사변형의 왼쪽위 꼭지점에 있는 적색의 거대한 별이다. 거리는 지구로부터 약 640광년이고, 반지름은 태양의 800배 정도이며 질량은 태양의 20배 정도 된다.[네이버 지식백과] 베텔기우스 [Betelgeuse] (두산백과) 보통 별의 크기 비교하는 동영상에 보면 중후반 쯤에 나오는 아주 커다란 별입니다. 크기가 태양의 800배라고 하니 그냥 엄청나다 라는 말 빼고는 인간의 범위에서는 표현할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베텔기우스는 적색거성으로 죽을..
EBS 다큐프라임 빛의 물리학 - 1부 빛과 시간 특수상대성 이론 EBS 다큐프라임 에서 "빛의 물리학" 이라는 주제로 총 6부작으로빛을 탐구하면서 발전한 현대 이론 물리학에 대한 방송이 있었습니다. [EBS 링크]1부 빛의 물리학-1부 빛과 시간 특수상대성 이론2부 빛의 물리학-2부 빛과 공간 일반상대성 이론3부 빛의 물리학-3부 빛의 추적자4부 빛의 물리학-4부 빛과 원자5부 빛의 물리학-5부 빛과 양자6부 빛의 물리학-6부 빛과 끈 이런 계통에 관심이 많아서 국내외 의 많은 다큐를 시청하였는데국내 제작한 다큐중에서는 최고 수준이며,국외의 다큐와 비교해도 전혀 수준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라고 생각됩니다.또한 물리학이라는 특성상 일반인의 일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은데다른 다큐에 비해서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1부는 "빛과 시간 특..
우주의 구조 - 시간 여행은 가능한가? 아인슈타인이 시간여행에 관한 이야기는 한적이 없지만 상대성이론에서 간접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물체가 광속에 가까워질수록 그 물체의 시간은 느려지고 광속에 도달할때 시간은 정지한다" 이것은 어떠한 사람이 광속과 비슷한 속도로 "몇시간" 여행하다가 집에오면 "수백만년"이 흘러있을 수 있다는 말과 일치한다. 광속과 비슷하게 움직이면서 여행을 하였기때문에 자신의 시간은 느리게 갔지만 다른 사람은 예전에 똑같이 흘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타인의 시간이 자신보다 빨리 흘렀기 때문에 미래로 가는 것과 똑같은 현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과거로 가는 방법은 상대성이론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다. 과거로의 시간여행에 대해서는 웜홀이라는 것의 역활을 필요로 한다. 웜홀은 정말로 존재하는지는 아직 아무도 알 수 없지..
엘러건트 유니버스 - 만물은 언제나 광속으로 움직이고 있다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서는 "우주에 존재하는 어떤 것도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없다" 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빛과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시간은 정지한다"라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그럼 왜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없는 것일까? 왜 광속으로 움직이면 시간은 정지하는 것일까? 아인슈타인은 3차원의 공간과 시간을 합쳐서 시공간이란 개념을 만들었고 그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 예를들어 일정한 속도를 낼수 있는 자동차가 있다고 가정하고 일직선(동-서)으로 달리면 출발지점에서 목적지점까지 언제나 같은 시간에 도착할 것이다. 하지만 대각선으로 달린다면 일직선으로 달린거와 마찬가지고 동-서로 이동한 거리는 동일하지만 시간은 더 오래걸렸을 것이다. 일반적인 상식으로 봐도 명확하..